반응형
안녕하세요.
초미입니다.
문서를 작성할 때 전문성이나 가독성 등 때문에 글씨체를 지정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휴먼명조로 작성이 되는데 숫자, 영어도 휴먼명조일 경우 불편할 때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일일이 바꾸는게 아닌 한번에 적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글자모양을 켜줍니다.
언어를 보면 보통 대표로 글꼴을 바꾸고 있는데요.
(오른쪽 마우스 버튼 또는 단축키 Alt+L)
2. 언어별 설정에서 언어를 누르면 이렇게 목록이 뜨게 됩니다.
보통 한글/영문/기호 정도를 지정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3. 보통 문서 작성할 때 사용하는 한글은 휴먼명조로 지정
4. 영문 작성시 HCI Poppy로 지정
5. 기호 작성시 HY헤드라인M으로 지정합니다.
(문서마다 다를 수 있고 제가 아는 부분과는 다를 수 있으니 참고용도로 이용바랍니다.)
글씨 비교를 해보면 좀 다르죠?
숫자, 영문, 한글 전부 글씨체가 다르지만 단독보다는 일정한 느낌이 들긴합니다.
기안문 작성할 때 배웠던 글씨체이다 보니 회사, 보고서 마다 다르니
다를 수 있다는 점 참고하시고 저는 다음에 뵙겠습니다.
반응형
'소소한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 창에서 커서가 뜰때(feat. Microsoft Edge) (1) | 2022.09.26 |
---|---|
공인인증서 쉽게 옮기는 방법 (feat. 숨김 폴더) (0) | 2022.08.28 |
[Win10] 바탕화면 바로가기 만들기 (0) | 2022.08.21 |
모니터 여러 개일 때 바탕화면 따로 설정하는 방법 (0) | 2022.08.02 |
[한글]표 맨 윗줄 반복하는 방법 (feat. 제목 셀) (0) | 2022.07.03 |